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닌텐도 어카운트를 새로 만들고 싶어요.
닌텐도 어카운트 페이지를 참고해 주십시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본체의 전원을 OFF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Nintendo Switch를 사용한 후에는 슬립 모드로 변경할 것을 추천합니다.
슬립 모드로 변경하면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게임도 곧바로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슬립 모드/슬립 모드 해제 방법 >
●다음의 방법으로 본체의 전원을 OFF로 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버튼을 3초 동안 길게 눌러 주십시오.
2. 전원 메뉴가 표시되면 「전원 옵션(Power Options)」을 선택해 주십시오.
3.「전원 OFF(Turn off)」를 선택하면 본체의 전원이 OFF로 변경됩니다.
※저장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본체의 전원을 OFF로 변경하기 전에 저장해 주십시오.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본체의 전원이 OFF인 상태에서 충전할 경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Joy-Con은 충전되지 않습니다. 본체에 장착하여 충전할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변경해 주십시오.
※정상적으로 전원이 꺼지지 않을 경우,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원을 OFF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DNS 설정 변경 방법
1. HOME 버튼을 눌러서 HOME 메뉴가 표시되면 「설정(System Settings)」을 선택합니다.
2. 「인터넷(Internet)」을 선택하고 「인터넷 설정(Internet Settings)」을 선택합니다.
3. 「등록이 완료된 네트워크(Registered Networks)」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설정 변경(Change Settings)」을 선택합니다.
4. 「DNS 설정(DNS Settings)」을 선택해서 본인이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Automatic)」을, 직접 설정할 경우에는 「수동(Manual)」을 선택합니다.
※「수동(Manual)」을 선택한 경우에는 「우선 DNS(Primary DNS)」와 「대체 DNS(Secondary DNS)」를 입력합니다(입력 내용은 사용하고 계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 확인해 주십시오).
5. 「저장(Save)」을 선택합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AOSS」를 사용해서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나요?
「AOSS」를 사용해서 무선 LAN에 접속할 수는 없습니다.
무선 인터넷 접속 설정에 대해서는 여기를 읽어 주십시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전원이 켜져 있는 본체를 독에 꽂으면 TV의 전원이 자동으로 켜집니다. 왜 그런가요?
본체 설정의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이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전원이 켜져 있는 본체를 독에 연결하거나 독에 연결된 본체를 슬립 모드에서 해제하면, TV의 전원이 켜집니다. 또한 TV 전원을 끄면 본체는 슬립 모드로 변경됩니다.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의 설정은 HOME 메뉴의 「설정(System Settings)」→「TV 설정(TV Settings)」→「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은 시스템 버전 2.0.0 이후의 본체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발매된 Nintendo Switch 본체의 초기 시스템 버전은 4.0.0입니다.
※연동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V의 설정도 필요합니다. 사용 중인 TV의 사용설명서 등을 확인해 주십시오. (TV에 따라서는 전원이 연동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유저별로 소프트웨어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나요?
소프트웨어의 저장 데이터는 유저별로 저장됩니다.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유저 사이에서 1개의 저장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츨처 Nintendo Switch Q&A https://www.nintendo.co.kr/support/switch/qna/index.php
닌텐도 어카운트 페이지를 참고해 주십시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본체의 전원을 OFF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Nintendo Switch를 사용한 후에는 슬립 모드로 변경할 것을 추천합니다.
슬립 모드로 변경하면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게임도 곧바로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슬립 모드/슬립 모드 해제 방법 >
●다음의 방법으로 본체의 전원을 OFF로 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버튼을 3초 동안 길게 눌러 주십시오.
2. 전원 메뉴가 표시되면 「전원 옵션(Power Options)」을 선택해 주십시오.
3.「전원 OFF(Turn off)」를 선택하면 본체의 전원이 OFF로 변경됩니다.
※저장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본체의 전원을 OFF로 변경하기 전에 저장해 주십시오.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본체의 전원이 OFF인 상태에서 충전할 경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Joy-Con은 충전되지 않습니다. 본체에 장착하여 충전할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변경해 주십시오.
※정상적으로 전원이 꺼지지 않을 경우, 전원 버튼을 1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전원을 OFF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DNS 설정 변경 방법
1. HOME 버튼을 눌러서 HOME 메뉴가 표시되면 「설정(System Settings)」을 선택합니다.
2. 「인터넷(Internet)」을 선택하고 「인터넷 설정(Internet Settings)」을 선택합니다.
3. 「등록이 완료된 네트워크(Registered Networks)」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설정 변경(Change Settings)」을 선택합니다.
4. 「DNS 설정(DNS Settings)」을 선택해서 본인이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Automatic)」을, 직접 설정할 경우에는 「수동(Manual)」을 선택합니다.
※「수동(Manual)」을 선택한 경우에는 「우선 DNS(Primary DNS)」와 「대체 DNS(Secondary DNS)」를 입력합니다(입력 내용은 사용하고 계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 확인해 주십시오).
5. 「저장(Save)」을 선택합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AOSS」를 사용해서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나요?
「AOSS」를 사용해서 무선 LAN에 접속할 수는 없습니다.
무선 인터넷 접속 설정에 대해서는 여기를 읽어 주십시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전원이 켜져 있는 본체를 독에 꽂으면 TV의 전원이 자동으로 켜집니다. 왜 그런가요?
본체 설정의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이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전원이 켜져 있는 본체를 독에 연결하거나 독에 연결된 본체를 슬립 모드에서 해제하면, TV의 전원이 켜집니다. 또한 TV 전원을 끄면 본체는 슬립 모드로 변경됩니다.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의 설정은 HOME 메뉴의 「설정(System Settings)」→「TV 설정(TV Settings)」→「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TV 전원과 연동(Match TV Power State)은 시스템 버전 2.0.0 이후의 본체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발매된 Nintendo Switch 본체의 초기 시스템 버전은 4.0.0입니다.
※연동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V의 설정도 필요합니다. 사용 중인 TV의 사용설명서 등을 확인해 주십시오. (TV에 따라서는 전원이 연동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유저별로 소프트웨어의 저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나요?
소프트웨어의 저장 데이터는 유저별로 저장됩니다.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유저 사이에서 1개의 저장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츨처 Nintendo Switch Q&A https://www.nintendo.co.kr/support/switch/qna/index.php